"이런 말 하게 돼서 미안한데"라는 한국어 표현은 상대방에게 민감한 내용을 전달하거나 사과의 뜻을 포함해 말을 꺼낼 때 사용됩니다. 영어에서도 비슷한 뉘앙스를 가진 표현들이 다양합니다. 아래에서 이를 분석하고 적절한 예문을 제공합니다.
1. "I'm sorry to say this, but..."
특징 및 뉘앙스:
가장 직역에 가까운 표현으로,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힘든 내용을 말하기 전에 사과의 뜻을 담아 완곡하게 표현합니다. 주로 부정적인 내용, 상대방이 불쾌할 수 있는 내용 앞에서 사용됩니다.
사용 빈도:
원어민들 사이에서 자주 사용되는 표현으로, 특히 직장, 서비스, 또는 공식적인 상황에서 많이 들립니다.
예문:
- "I'm sorry to say this, but we cannot approve your application."
(이런 말 하게 돼서 미안한데, 귀하의 신청을 승인할 수 없습니다.) - "I'm sorry to say this, but your project needs significant improvements."
(이런 말 하게 돼서 미안한데, 당신의 프로젝트는 큰 개선이 필요해요.)
2. "I hate to say this, but..."
특징 및 뉘앙스:
사과와 함께 개인적인 유감을 더 강조하는 표현입니다. 상대방에게 부담스러운 진실을 전달할 때 사용되며, 말하는 사람의 난처함이 드러납니다.
사용 빈도:
일상 대화에서 많이 사용되며, 특히 친한 사이에서 상대방을 실망시키고 싶지 않을 때 자주 등장합니다.
예문:
- "I hate to say this, but I think you made a mistake."
(이런 말 하게 돼서 미안한데, 네가 실수한 것 같아.) - "I hate to say this, but we’re running out of time."
(이런 말 하게 돼서 미안한데, 우리 시간이 거의 다 됐어.)
3. "I regret to inform you that..."
특징 및 뉘앙스:
공식적인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. 특히 이메일, 공지문 등에서 나쁜 소식을 전할 때 자주 쓰입니다. "regret"이라는 단어는 말하는 사람의 유감스러운 마음을 강조합니다.
사용 빈도:
공식 문서나 비즈니스 환경에서 매우 흔합니다. 일상 회화보다는 격식 있는 자리에서 적합합니다.
예문:
- "I regret to inform you that your reservation has been canceled."
(이런 말 하게 돼서 미안하지만, 예약이 취소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.) - "I regret to inform you that the meeting has been postponed."
(이런 말 하게 돼서 미안하지만, 회의가 연기되었습니다.)
4. "I don’t mean to upset you, but..."
특징 및 뉘앙스:
상대방의 감정을 상하게 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명확히 하며 말을 시작할 때 사용합니다. 다소 개인적인 내용이나 비판적인 의견을 전달할 때 자주 쓰입니다.
사용 빈도:
상대방과의 관계를 신경 쓰는 상황에서 원어민이 자연스럽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.
예문:
- "I don’t mean to upset you, but I think you should know the truth."
(이런 말 하게 돼서 미안한데, 너가 진실을 알아야 할 것 같아.) - "I don’t mean to upset you, but we need to rethink this strategy."
(이런 말 하게 돼서 미안한데, 이 전략을 다시 생각해야 할 것 같아.)
5. "It pains me to say this, but..."
특징 및 뉘앙스:
자신의 괴로운 감정을 강조하면서 상대방에게 어려운 내용을 전할 때 사용됩니다. 비교적 드문 표현으로, 감정적인 영향을 많이 주는 상황에서 주로 쓰입니다.
사용 빈도:
감정적으로 깊이 연결된 사람들과의 대화에서 사용됩니다. 드라마틱하거나 문학적인 상황에서도 적합합니다.
예문:
- "It pains me to say this, but we can’t continue working together."
(이런 말 하게 돼서 미안하지만, 우리 더 이상 함께 일할 수 없을 것 같아.) - "It pains me to say this, but we have to let you go."
(이런 말 하게 돼서 미안하지만, 당신을 해고해야 할 것 같아요.)
결론
"이런 말 하게 돼서 미안한데"라는 표현은 영어에서도 다양한 뉘앙스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 상황과 전달하려는 감정에 따라 적합한 표현을 선택하면 원어민처럼 자연스러운 대화를 할 수 있습니다.
- 공식적인 자리: "I regret to inform you that..."
- 비공식적이고 일상적인 대화: "I'm sorry to say this, but..." 또는 "I hate to say this, but..."
- 감정을 강조하고 싶을 때: "It pains me to say this, but..."
상황에 맞는 표현을 선택하여 사용해 보세요!
'영어 > 영어로 뭐지?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영어로 뭐지?] "말싸움하다"를 영어로 뭐라고 할까? Argue (0) | 2024.12.29 |
---|---|
[영어로 뭐지?] "의욕이 없다"를 영어로 뭐라고 할까? I have no motivation (3) | 2024.12.16 |
[영어로 뭐지?] "시간이 많이 드는"을 영어로 뭐라고 할까? Time-consuming (1) | 2024.11.10 |
[영어로 뭐지?] "임시"를 영어로 뭐라고 할까? Temporary, Interim (0) | 2024.11.08 |
[영어로 뭐지?] "경험이 부족하다" 영어로 뭐라고 할까? Inexperienced (3) | 2024.11.08 |